본문 바로가기
해드림 신간

사찰문화 전문 사진작가 강승규 사진집 '산사음악회'

by 해들임 2025. 1. 22.

강승규 저

면수 320쪽 | 사이즈 287*230 | ISBN 979-11-5634-612-8 | 03220

| 값 50,000원 | 2024년 12월 31일 출간 | 종교 | 사진집 |

 

문의

임영숙(편집부) 02)2612-5552

책 소개

 

사찰 장례문화인 다비식을 사진 자료로 집대성한 강승규 사진작가가 이번에는 전국 70개 이상의 유명 사찰에서 열렸던 산사음악회 장면을 사진작품으로 하여 사진집 “산사음악회”를 해드림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 강승규 사진작가는 그동안 이론서 『다비식』, 사진집 『다비식 사진집 흑백 종합편』, 『다비식사진집 Ⅱ 해인사편』을 출간하며 우리나라 사찰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 사진작가로 자리매김해왔다. 그의 작업은 사찰 문화를 사진 예술로 기록하며 그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저자소개

 

한국사진작가협회 회원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장 역임

저서: 『산사음악회 개인전 사진집(비매품)』

『다비식(2022. 해드림출판사)』

『다비식 사진집 흑백 종합편(2022. 해드림출판사)』

『다비식사진집 Ⅱ 해인사편(2022. 해드림출판사)』

 

차례

 

 

머리말 4

 

강원도 편

양양 낙산사.....21

구룡사.....23

평창 월정사......26

홍천 백락사.....30

 

경기도 편

가평 감로사......34

남양주 봉인사.....35

양주 연화사......37

양주 육지장사.......44

양주 지장사......51

양주 회암사지......54

가야금 병창

양평 사나사.....55

용인 와우정사.....59

불두 앞 풍물패 공연 1

포천 도림사.....63

화성 용주사......68

기독교 합창단 합창 승무

 

경상남도 편

고성 운흥사....72

남해 용문사....75

용문사 일주문

남해 화방사.....77

양산 서운암.....80

양산 통도사.....82

하동 쌍계사.....85

함안 마애사....88

합천 해인사 1......90

합천 해인사 2.....93

합천 해인사 3.....102

합천 해인사 4.....110

 

경상북도 편

구미 대둔사.....115

봉화 청량사.....118

영주 부석사.....122

의성 고운사.....127

청도 유등제.....129

바라춤 예불 청도천 연등 유등

 

대구광역시 편

대구 동화사.....133

 

서울특별시 편

강남 봉은사 1.....139

강남 봉은사 2.....141

강남 봉은사 3.....142

강북 도선사 1.....145

강북 도선사 2.....146

강북 화계사.....151

관악 관음사.....154

노원 기원사.....157

동대문 운동장.....160

서대문 봉원사.....164

성북 심곡암 1.....168

성북 심곡암 2.....170

영등포 여의도.....173

종로 조계사 1.....175

종로 조계사 2.....177

종로 조계사 3......183

종로 조계사 4.....184

 

세종특별자치시, 인천광역시 편

세종 비암사.....190

세종 영평사 1.....193

세종 영평사 2.....195

인천 강화전등사.....198

 

전라남도 편

강진 백련사.....200

구례 불락사.....203

국악 판소리 공연

구례 사성암......204

구례 화엄사 1.....207

구례 화엄사 2.....210

영생음악회 전경

보성 대원사.....213

순천 선암사.....215

순천 송광사 1.....219

순천 송광사 2.....220

여수 향일암......221

영암 도갑사.....222

함평 용천사.....224

해남대흥사 1.....226

해남 대흥사 2......227

해남 미황사 1.....231

해남 미황사 2.....234

해남미황사 3.....238

화순 개천사.....243

화순 운주사 1.....246

화순 운주사 2.....248

 

전라북도 편

고창 선운사 1....252

고창 선운사 2......253

고창 선운사 3......254

고창 선운사 4.....255

김제 흥복사.....258

부안 내소사.....259

 

충청남도 편

공주 갑사.....264

공주 마곡사 1......267

공주 마곡사 2.....270

공주 마곡사 3.....273

공주 마곡사 4.....278

금산 보광사......282

논산 관촉사.....285

서산 부석사.....286

서산 서광사......288

천안 각원사 1.....289

천안 각원사 2.....291

천안 광덕사.....294

천안 구룡사......296

천안 은석사.....298

 

충청북도 편

괴산 흥천사.....302

단양 광덕사.....304

보은 법주사.....306

영동 반야사.....311

영동 영국사.....313

옥천 가산사......315

옥천 대성사.....317

청주 무심천.....318

출판사 서평

 

산사음악회가 갖는 역사적, 문화적 의미 전달

 

사찰 장례문화인 다비식을 사진 자료로 집대성한 강승규 사진작가가 이번에는 전국 70개 이상의 유명 사찰에서 열렸던 산사음악회 장면을 사진작품으로 하여 사진집 “산사음악회”를 해드림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 강승규 사진작가는 그동안 이론서 『다비식』, 사진집 『다비식 사진집 흑백 종합편』, 『다비식사진집 Ⅱ 해인사편』을 출간하며 우리나라 사찰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 사진작가로 자리매김해왔다. 그의 작업은 사찰 문화를 사진 예술로 기록하며 그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번 사진집 “산사음악회”는 단순한 사진 모음집이 아니다. 전국 각지의 사찰에서 열린 산사음악회의 생생한 장면들을 담아내며, 사진 한 장 한 장이 현장의 분위기를 오롯이 전한다. 특히 이 사진집은 사찰 문화와 음악의 융합이라는 특별한 주제를 중심으로, 음악을 통해 전해지는 사찰의 평온함과 지역민, 신도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장면을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은 단순히 눈으로 즐기는 것을 넘어, 산사음악회가 갖는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유명 사찰에서 산사음악회가 열릴 때, 특히 유명 가수나 탤런트를 초청하면 출연료를 포함한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행사는 방송국이나 지역 방송업체와의 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는 사진 촬영이 더욱 어려워진다. 행사 사진 촬영은 다큐멘터리 스냅사진의 성격을 가지며, 많은 제약과 난관을 동반한다. 관중들 사이를 오가며 촬영해야 하고, 동시에 진행요원들의 통제를 피해 움직여야 하기에 욕설을 듣는 등 고된 작업 환경을 감내해야 한다. 이번 사진집에도 그러한 촬영 과정에서의 애환이 묻어난다. 사진과 함께 실린 설명문은 당시의 촬영 환경과 행사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한다. 사진 촬영이 금지되거나 이동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저자는 현장의 긴장감과 열기를 포착해냈다.

 

반면에 소규모 사찰에서는 지역 가수나 국악인을 초청해 비교적 단출한 음악회를 열기도 한다. 이러한 산사음악회는 사찰의 신도들과 사찰 인근 지역민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모두가 함께 어울리며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산사음악회는 단순히 음악을 감상하는 자리가 아니라, 사찰과 지역 사회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규모 음악회는 대규모 행사와는 다른 정겨운 매력을 지니며, 지역민들에게 소소한 행복을 선사한다.

 

최초 공개한 사진 작품들

 

강승규 작가는 공모전과 같은 외부의 평가보다는 기록의 의미에 집중해왔다. 초기 산사음악회 촬영 작품 중 일부만 공모전에 출품되었을 뿐, 이후로는 대부분 작품이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사진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그동안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새로운 사진들로, 작가의 독창적인 시각과 예술적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사진들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사찰 문화와 음악의 만남이라는 독특한 주제를 통해 독자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사진집 “산사음악회”는 단순히 음악회 장면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찰과 산사의 풍경, 음악을 감상하는 사람들의 표정, 행사 현장의 역동적인 순간들을 섬세하게 담아냈다. 이 책은 사진을 통해 사찰 음악회의 본질을 느끼고, 그 속에 담긴 사찰 문화의 아름다움과 평화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작품이다. 강승규 작가의 이번 사진집은 사찰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선물이 될 것이다.